나 홀로 떠나는 여행

도봉산 보문 능선의 봄

智美 아줌마 2015. 4. 17. 12:30

 

도봉산 산행은 참 오랜만에 하는 것 같다. 도봉산 둘레길은 두 세 번인가 갔는데 산을 오르는 것은 3년 전쯤 오봉 다녀온 후 처음인 것 같다. 가까이에 명산을 두고 도대체 어디를 다닌 거나?  경비 들여가며 많은 시간 할애해가며 말이다. ㅎㅎㅎ

 

아, 명자꽃 정말 예쁘다.  볼 수록 화려함의 극치다.

 

 

 

조팝나무

 

오늘은 다리 건너 보문 능선으로 올라가서 우이암 찍고 원통사, 방학 능선을 탈 계획이다. 오랜만의 산행이라 길이 어떠한지 기억이 가물가물

 

 

미륵 기도 도량 능원사

북한산의 깃대종 오색딱다구리

5월 초에나 필 산철쭉이 벌써 피었다. 이 녀석들 너무 부지런한 것 아냐?

 

 

벚꽃의 화려함도 이젠 푸르름과 자리를 바꾸고 있고 . . .

늦게 핀 개나리도  푸른 잎이 돋아나있다.

도봉사

애기똥풀

돌양지

양치식물도 새순이 돋아났네. 공작고사리 같다.

왼쪽 길이 보문 능선, 우이암 가는 길, 오른쪽 길은 자운봉으로 올라가는 길

 

너 이름은 뭐니? 꽃은 다른 제비꽃에 비해 작은데 잎은 길고, 졸방제비꽃이나 콩제비는 잎이 둥근 편인데 이름을 모르겠네.

 

왼쪽 우이암 방향으로 막 올라가는데 뒤에서 누가 부르며 쫓아온다. 돌아보니까 어떤 할배가 혼자 가냐고 묻기에 그렇다고 하니까 다른 사람과 같이 가라고, 들개들이 아래까지 내려와서 사람을 공격한다고 둘이 가야 막대기로 휘두리기라도 하지 혼자 가면 위험하단다. 그렇잖아도 혼자 다니기에 염려스러울 때가 있는데 오지랖 넓은 할매 때문에 걱정을 사서 가게 생겼다.

 

 

 

올라가다 보니 산에 있을 꽃이 아닌데 화분에 있던 것을 누가 갖다 심어 놓았는지 색다른 철쭉도 꽃을 피우고 있다.

 

 

 

 

드문 드문 산철쭉이 피어있다. 진달래가 지고나면 연분홍 산철쭉이 피고있겠지.

아, 이 바위, 생각난다. 바위야 잘 있었니?

도봉산 주봉들이 보인다.

오른쪽에 가장 높게 보이는 만장봉 718m, 만장봉 앞에 선인봉 708m, 왼쪽방향으로 도봉산의 최고봉인 자운봉 740m,  그 옆이 신선대, 뜀바위 

벚꽃

 

 

 

 

 

무슨 풀인지 새순이 예뻐서 . . .

철쭉 봉오리

북한산 진달래 능선만큼이나 보문 능선에도 올라갈 수록 진달래가 많이 피어있다.

 

 

 

산개나리, 북한산의 깃대종

 

 

 

 지난 번 설악산 산행 때 만났던 아짐같이 붙임성있고 예쁜 아짐한테 부탁해서 한 컷 찍고 친구랑 같이 온 그 아짐도 찍어줬더니 흡족해 했다.

이곳엔 산개나리 군락

여기서는 왼쪽 나무가지 아래 손가락같은 주봉이 보인다.

 

 

 

 

 

드디어 우이암이 보이네, 처음 도봉산에 오는 사람은 우이암이 절의 암자인 줄 알고 절집을 묻기도 한다.

 

 

노랑제비꽃

꼬깔제비꽃

 

바위 사이마다 꼬깔제비꽃과 노랑제비꽃이 소담스럽게 피어있다. 꼭 누가 심어 놓은 것 같이 . . .

 

오봉, 다섯 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있다는 데에서 오봉이란 지명이 유래하였다. 오봉산이라고도 부른다. 오봉에 대한 유래로는 한 마을의 다섯 총각들이 원님의 어여쁜 외동딸에게 장가들기 위해 오봉산과 마주한 뒷면의 상장 능선에 있는 바위를 오봉에 던져서 올리기 시합을 하였는데, 이로 인해 현재의 기묘한 모습의 봉우리가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왼쪽부터 칼바위,  가운데 내려와서 주봉, 뜀바위, 신선대(뜀바위 뒤),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수락산 방향

불암산 방향

 

 

 

 

북한산은 암릉 구간이 많아 쇠줄 타는 곳이 곳곳에 있어 난 무서워라. 보문 능선을 지나 우이암으로 넘어가는 길은 적어도 나한테는 길이 고약하다. 우이암이 딱 버티고 있으니 만만하게 생각하지 마라고 겁을 주는지 원통사로 내려가는 길까지는 조심 또 조심해야 한다.

 

우이암이 바로 코 앞에?

신기하게 포개져 있는 바위 구멍

 

 

추락주의, 요즘 눈이 말썽이라 조심 조심 건너갔다. 왼쪽은 벼랑

흔히 통천문이라고 한다.

통천문을 빠져 나가면 보이는 풍경

우이암이 더 코 앞에? ㅎㅎㅎ

나는 원통사 방향으로 . . .

우이암으로 내려가는 계단

앞의 바위 뒤에 우이암

우이암의 또 다른 모습

'나 홀로 떠나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조 계비 신덕왕후의 정릉  (0) 2015.04.21
도봉산 우이암 방학 능선  (0) 2015.04.17
울긋불긋 꽃대궐 진달래 능선  (0) 2015.04.15
북한산 소귀천의 봄  (0) 2015.04.15
비 오는 창포원  (0) 201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