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방산 등명낙가사 일주문
서울의 정 동쪽에 위치한 등명낙가사, 일주문 가운데 나침반이 설치되어있다.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괘방산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이다.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당시 강릉 지역은 북쪽의 고구려와 동쪽의 왜구가 자주 침범하던 곳이었다.
자장은 부처의 힘으로 이를 막기 위하여
부처의 사리를 석탑 3기에 모시고 이 절을 세웠다고 한다. 창건 당시에는 수다사라 하였다. 석탑 3기 중 1기는 현존하는 오층석탑이고 1기는
1950년 6·25전쟁 때 없어졌으며 나머지 1기는 절 앞바다 속에 수중탑으로 세워졌다고 한다.
등명낙가사의 부도
신라 말 전쟁으로 불에 탄 것을 고려 초에 중창하고 절 이름을 등명사로 고쳤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강릉부 동쪽 30리에 있었고 절의
위치가 어두운 방 가운데 있는 등불과 같은 곳이라 하여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또 이곳에서 공부하는 사람이 삼경에 등산하여 불을
밝히고 기도하면 빨리 급제한다고 해서 붙였다고도 한다. 고려 때에는 매우 큰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조선 중기에 폐사되었다.
등명약수는 철분, 황상염, 알루미늄, 유리산도가 들어 있어 마셨을 때는 빈혈, 신경쇠약, 신경통, 소화불량, 위장병 . . . 등에 좋고 목욕을 했을 때는 만성피부염, 무좀, 류마치스성 신경통, 습진등 피부염에 좋다고 한다. 단, 알루미늄이 기준치 초과 검출이 되어 치매유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장기 복용은 삼가하란다.
포장길이 있지만 숲길로 올라갔는데
뱀딸기가 빨갛게 발길을 잡는다.
폐사된 이유로는 3가지 설이 전한다. 첫째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왜군이 불을 질렀다는 설이며, 둘째와 셋째는 왕실에서
폐사시켰다는 설이다. 왕실에서 폐사시킨 이유 중 하나는 안질에 고생하던 어느 왕이 한 점술가의 말을 믿고 폐사시켰다고 한다.
그
점술가는 왕의 병이 정동쪽에 있는 큰 절에서 쌀 씻은 물이 동해로 흘러들어가 용왕이 노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왕의 특사가 함경남도 원산을
거쳐 배편으로 이곳에 와 보니 점술가의 말과 같았으므로 폐사시켰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이 절이 서울의 정동쪽에 있어
궁중에서 받아야 할 일출을 늘 먼저 받으므로, 정동쪽 등불을 끄면 조선에서 불교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는 주장에 따라 폐사시켰다고 한다.
극락보전
극락보전 편액 양옆에 용머리가 있고
법당 안에 용의 꼬리가 있다.
극락보전 내부
대웅전에 해당하는 영산정은 오백나한전이라고도 한다.
가운데 불상 양옆에 옥으로 만든 오백나한상이 있는데 인간문화제 유근형님이 5년에 걸쳐 만든거라고 한다. 마침 큰스님께서 법회를 주관하고 계셨다.
범종각
삼성각
삼성각 내부
살구나무, 이렇게 큰 과실수는 처음 본다. 나무 그늘에 잠시 앉아 더위를 식혔다.
나무 밑에서 앉아 있는데 스님이 올라오셔서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던 중 툭!! 살구가 바람에 떨어진다. 주워 먹으니 달고 향긋한게 넘 맛있었다.
스님께서 직접 나무에서 몇개 따주셨다.
전날 밤 비가 많이 와서 살구가 엄청 많이 떨어져서 비닐봉지에 쓸어 담아 놓았는데 너무너무
아까웠다. 여행 중만 아니면 가지고 와서 살구액을 담고 싶었다
강원도 유물 오층석탑을 보러 가는 대나무 숲길
이녀석들 완전 개팔자다. 사람들이 드나들어도 잠만 자고 있다.
달마도를 집안에 두면 좋다고들 해서인지 판매를 하고 있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7호인 오층석탑, 창건 당시 지장율사가 세운 석탑 3개 중 하나
약사전
약사전 내부
접시꽃 당신이 여기 또 있네.
약사전과 오층석탑 올라가는 계단
약사전에서 포장도로 내려오는 길
살구나무 아래서 셀카로 한 컷!! 발 옆에 살구 쓸어 담아 놓은 것이 보인다.
이제 하슬라 아트 월드로 이동
※ 찾아가는
길
강릉 신영극장 앞에서 111, 112, 113번 버스 타고 등명낙가사 앞에서 하차
(소요 시간 30분 요금1천원 배차 간격
1시간)
'나 홀로 떠나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네스북에 올라 있는 정동진역 (0) | 2010.07.01 |
---|---|
하슬라 아트 월드 (0) | 2010.07.01 |
아름다운 남애항 (0) | 2010.06.30 |
쉬고 또 쉬어가는 휴휴암 (0) | 2010.06.30 |
섬 아닌 섬 죽도 (0) | 201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