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전사 입구에서 본 하늘이 정말 눈이 시리도록 파랗다.
672년(문무왕 12)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이 창건하였다는 설도 전해진다. 한국전쟁으로 대부분의 자료들이 소실되어 창건 이후의 사찰역사는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1972년 봉정사 극락전을 해체하고 복원하는 공사를 진행할 때 상량문에서 고려시대 공민왕 12년인 1363년에 극락전을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발견되었다. 이런 사실이 발견되어 봉정사 극락전이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물로 인정받게 되었다.
부석사를 세운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종이로 봉황새를 만들어 날려 보냈는데, 그 새가 내려앉은 자리에 절을 짓고 봉정사라 이름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일주문
협문(오른쪽)
무량해회
화엄강당 보물 제448호
대웅전 보물 제55호 조선시대
봉정사 대웅전은 종래의 학설로는 조선 초기의 건물로 단정되었으나, 1962년 해체 보수시 나온 묵서명(墨書銘)과 굽받침이 있는 주두인 고재(古材)로 미루어 고려 말기의 건물일 가능성도 배제하진 못한다. 고려 말의 다포계 건물로는 황주(黃州)의 심원사(心原寺) 보광전(普光殿)정도만 현존하는 걸로 알려서 남한에 있는 유일한 예라는 가치를 가질 수도 있는 중요한 건축 문화재이다.
봉정사 대웅전은 다른 사찰과 다르게 앞에 마루가 있는게 특이하다
측면에서 본 대웅전 마루
고금당 보물 제449호 조선시대
극락전 국보 제15호, 고려말기. 현존하는 우리나라 목조건축 중 최고의 건물로 유명하며 기둥의 배흘림, 공포의 단조로운 짜임새, 내부가구(內部架構)의 고격함이 이 건물의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이 부석사의 무량수전이라고 알고 있었지만 그 순위가 봉정사 극락전으로 바뀌었는데 봉정사의 대웅전이 가장 오래된 건축물일 거라는 추측이 나왔다.
삼층석탑
'나 홀로 떠나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문화 유산 안동 하회마을 (0) | 2009.08.20 |
---|---|
안동 하회탈 공연장 (0) | 2009.08.20 |
진안 마이산 탑사 (0) | 2009.08.18 |
진안 마이산 은수사 (0) | 2009.08.18 |
안양 예술 공원 (0) | 2009.08.17 |